Q
조회수172
최근 낯선 사람 여러 명이 제 일상동선을 감시하는 것 같습니다. 집 앞에 낯선 차량이 자주 서 있거나, 메신저를 통해 저를 촬영한 사진이 전송되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혼자 신고하기엔 두렵고, 이런 일이 실제로 ‘조직스토킹’으로 인정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또 증거를 어떻게 모아야 하는지, 그리고 신변보호나 법적 대응은 어떤 절차로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조직스토킹 관련해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조직스토킹
관련 문의 답변
조직스토킹은 여러 사람이 집단적으로 한 사람을 감시·추적·괴롭히는 행위를 말하며, 피해자의 일상과 심리적 안전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중대한 범죄 유형입니다.
조직스토킹으로 피해를 입은 상황이라면 우선, 경찰에 즉시 신고하여 ‘스토킹 범죄 긴급 신고 대상자’로 등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12나 스마트국민제보 앱을 통해 현장 상황을 알리고, 스토킹코드 관리 및 신변안전조치 요청을 병행해야 합니다.
경찰의 ‘범죄피해자 신변안전조치’ 제도를 통해 임시 거처 제공, 경호 요원 배치, 접근금지 요청, 위치추적기 지급 등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증거는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확보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반복되는 미행 장면이 담긴 CCTV 영상, 차량 번호, SNS 게시물, 대화 캡처, 시간대별 일지 기록, 목격자 진술 등은 모두 조직스토킹의 지속성을 입증하는 자료가 됩니다.
특히 증거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포렌식 전문가의 복원 분석을 병행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법적 대응 단계에서는 접근금지명령·임시조치 청구를 통해 가해자의 접근을 막고, 정식 고소로 형사처벌 절차를 개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협이 지속되거나 물리적 접근 위험이 높은 경우에는 전문 경호센터를 통한 경호서비스를 병행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조직스토킹 피해는 시간이 지날수록 확대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혼자 대응하기보다 조직스토킹 사건 처리 경험을 보유한 전문가와 상담하여 안전 확보와 법적 대응을 병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경호 변호사
법률상담예약
모든 상담은 전문변호사가 사건 검토를 마친 뒤
전문적으로 진행하기에 예약제로 실시됩니다.
가급적 빠른 상담 예약을 권유드리며,
예약 시간 준수를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상담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전화상담 1800-7905
365일 24시간
상담접수가능
카톡상담
카카오톡채널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온라인상담
맞춤 법률서비스를
제공합니다.